최근 챗GPT라는 인공지능 서비스로 학교 숙제를 해오는 학생들 때문에 고민이라는 뉴스기사를 보게 되었습니다. 기사에서는 챗GPT의 뛰어난 성능 때문에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라 예측하였는데요. 혹자는 가까운 미래에 모든 검색엔진이 사라지고 이것으로 대체될 것이라 말하기도 했습니다. 우리가 상상하는 SF에서 보았던 AI가 실현되고 있는 것일까요? 오늘은 챗GPT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 사용법도 살펴보겠습니다.
ChatGPT 챗지피티란?
우선 챗GPT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챗GPT는 OpenAI가 개발한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입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시리나 빅스비 같이 대화를 입력하여 원하는 것을 요청할 수 있는 서비스인데요.
중요한 점은 시리나 빅스비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훨씬 많은 것을 할 수 있다는 것이 무슨 뜻일까요?
우리가 빅스비나 시리에게 무언가를 요청할 때 보통 어떤 정보를 물어보곤 합니다. 그럼 인터넷에 있는 정보를 수집하여 물음에 대한 답을 알려줍니다. 정보를 찾고 확인하는 것보다 어려운 일이 무엇일까요?
정보를 만들어내는 일입니다.
먼저 학교에서 챗지피티를 이용하여 학교 과제를 해오는 학생들 때문에 고민이라는 기사를 봤다는 얘기를 했는데요. 챗GPT를 이용하여 만들어낸 논문이나 과제물들이 사람의 결과물과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라고 합니다.
챗GPT를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에 대해서 앞으로 많은 가능성들이 있는데요. 현재 이용하고 있는 모든 검색엔진을 대체할지도 모른다는 말이 나오기도 합니다.
AI개발의 속도가 가속화될 것을 전망되는데요. 우리가 상상으로만 접했던 SF 속 상황이 가까워진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챗GPT 이용해 보기
챗GPT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으니 이제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챗GPT는 회원가입 후 무료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회원가입 시 구글계정을 사용하는 것이 편하기 때문에 구글계정으로 회원가입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ChatGPT: Optimizing Language Models for Dialogue
We’ve trained a model called ChatGPT which interacts in a conversational way. The dialogue format makes it possible for ChatGPT to answer followup questions, admit its mistakes, challenge incorrect premises, and reject inappropriate requests. ChatGPT is
openai.com
위 사이트를 방문 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상단 가운데 있는 'TRY'를 누르시거나 하단 왼쪽의 'TRY CHATGPT'를 누릅니다.
로그인 창이 나오는데요. 여기서 하단의 'Continue with Google'을 눌러줍니다.
이름을 입력하는 창이 나옵니다. 여기서 이름과 성을 입력하고 하단의 'Continue'를 클릭합니다.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창입니다. 전화번호 입력 후 'Send code'를 누르면 입력한 전화로 인증번호가 문자로 옵니다. 인증번호를 입력하면 회원가입 완료입니다.
회원가입이 완료되면 볼 수 있는 알림입니다. 하단의 'Next'를 누르고 마지막에 'Done'을 눌러주세요.
챗GPT 화면입니다. 하단의 검색창에 말을 입력하면 대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현재 한국어로도 이용가능한데요. 직접 해보니 답변 속도가 매우 느립니다. 그래도 매우 자연스러운 대답을 해줍니다. 영어를 잘하신다면 영어로 정보를 얻는 거을 추천 합니다. 더불어 현재 정보는 21년도까지의 데이터 밖에 없기 때문에 그 이후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확인이 필요합니다.
한편 이런 화면이 나올 때도 있는데요. 이용자가 많아서 사용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접속하여 이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궁금한거 다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라딘 중고서점 책팔기 (0) | 2023.02.17 |
---|---|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 : WE> 예매 방법! (0) | 2023.02.09 |
전국 로또 명당 순위 TOP 10 알아보기💸 (0) | 2023.01.25 |
Zzz...😴 만화에서 자는 표시 왜 'Zzz...'로 하게 되었을까? (0) | 2023.01.20 |
깨소금이 소금이 아니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 깨소금 만들기 (2) | 2023.0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