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42 연은 어디에서 생긴 것일까? 따뜻하고 순수한 감동을 기대하며 영화 ‘메리 포핀스 리턴즈’를 봤습니다. 기대했던 감동을 주는 영화를 기분 좋게 즐기는데 갑자기 무언가가 걸립니다. 막내아들이 날리는 연에 시선이 갑니다. 연이 뭔가 낯섭니다. 아! 제가 알고 있던 연과는 뭔가 조금 다르게 생겼습니다. 다른 느낌을 가지는 연을 보면서 물음이 생깁니다. 연은 어디에서 생긴 것일까요? 한국 콘텐츠 진흥원에서 연의 유래에 대해 설명해줍니다. 연은 서양에서는 BC 400년경 플라톤의 친구인 '알투스'가 처음 만들었다고 하고, 동양에서는 BC 200년경 중국의 '한신(韓信)'이라는 장군이 군사용으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동양에서 만들어져 서양으로 넘어갔거나, 서양에서 만들어져 서양으로 넘어간 것이라는 자료는 남아있지 않습니다. 농업처럼 정보의 교류 .. 2020. 2. 7. 나소흑전기 羅小黑戰記 3화 https://youtu.be/bza_Pu0_Owc * 단어 貌似 Màosì : 貌似怕小黑呢 干劲 gànjìng : 没什么干劲呢 抓住 Zhuāzhù : 抓住它! 奋力 Fènlì : 奋力的抓不到才是正确的~ 耍 shuǎ : 他是不是在耍我? 借口 jièkǒu : 你果然又是找借口出来的 尾巴 wěibā : 小黑,你的尾巴呢! 2020. 2. 7. 냉면은 겨울에 먹는 음식일까? 추운 겨울 동네에 있는 커다란 평양냉면집을 지나면서 직장 동료가 했던 말을 떠올립니다. 냉면은 원래 겨울음식이라고요. 당시에는 농담이라고 생각하여 넘겼는데 지금에서 생각해보니 일리가 있습니다. 얼음이 귀했던 과거에 여름에 냉면을 먹기란 매우 힘들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겨울에 먹는 냉면을 떠올리자니 몸이 받아들이기 힘듭니다. 너무 추워요. 그래서 생긴 질문, 정말 냉면은 겨울에 먹는 음식이었을까?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우선 냉면의 유래를 검색해 봅니다. 오! 한국외식업중앙회에서 냉면의 유래를 정리해둔 글에서 질문의 답도 찾을 수 있었습니다. “냉면은 또 더운 여름에 먹은 시원한 국수라고 생각하지만 본래는 추운 겨울에 먹는 음식이다.” 질문에 대해 정확히 답을 말해줍니다. 1849년에 쓰인 《동국세시기.. 2020. 2. 6. 나소흑전기 羅小黑戰記 2화 https://youtu.be/Hq9q4ye0-Pg * 단어 逃 táo 달아나다 도망치다 : 小黑要逃走? *문장 亏我一大早还去买了 亏 부족하다, 줄다, 저버리다, 다행히, 유감스럽게도, 실례하지만 여기에서는 유감스럽게로 해석? 2020. 2. 5. 나소흑전기 羅小黑戰記 1화 https://youtu.be/V2lO_HgRtCk 나소흑전기 1화 애니메이션으로 언어 즐겁게 공부하겠다는 큰 포부를 안고 중국어 공부를 시작합니다. * 단어 难道 Nándào 설마 ~ 하겠는가?, 그래 ~ 란 말인가? : 难道我的名字也是你们随便起的。。。 : 难道是被小黑拖进去了 仔细 Zǐxì 꼼꼼하다, 주의하다, 알뜰하다 : 仔细想想。。。 蛮 mán 매우, 거칠다 : 罗小黑这名字还蛮深度的 乖 guāi 얌전하다, 영리하다 : 怎么突然这么乖了。。。 猫砂 māoshā 고양이모래 : 明天要去买猫砂和猫砂盆哦 蹲 dūn 쪼그리고 앉다, 머무르다 / 马桶 mǎtǒng 변기 : 你找只能蹲马桶的猫给我看看 指教 zhǐjiào 지도하다, 가르침 : 清多多指教啦 诅咒 zǔzhòu 저주하다 : 我是一个被诅咒的王子 创意 chuà.. 2020. 2. 4. 오스카시상식이 로컬이라는 말은 무슨 뜻일까? 기생충이 오스카에 노미네이트되면서 연일 화제였습니다. 화제인 이유도 다양했습니다. ‘제시카, 외동딸, 일리노이, 시카고. 과 선배는 김진모 그는 네 사촌......“ 영화 속 잠깐 등장한 제시카송이 미국에 유행하기도 하고, 새삼스레 한국에 반지하가 많이 이유가 조명되기도 했습니다. 이런 다양한 화젯거리 속에 봉준호 감독의 인터뷰도 주목을 받았습니다. 미국 매체 ‘벌처’와의 인터뷰에서 언급한 “오스카는 로컬(지역 시상식)”라는 표현 때문입니다. 오스카 시상식이 로컬이라는 말은 무슨 뜻일까요?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인터넷을 찾아봅니다. 누군가 설명합니다. 쉽게 말해 한국의 대종상이나 청룡영화제 같은 시상식에 할리웃 영화가 후보에 오르지 못한 이유가 무엇이냐고 묻는 것과 같다고요. 이해가 바로 갑니다. 로컬.. 2020. 2. 4. 이전 1 ··· 37 38 39 40 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