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금한거 다 알기

요즘 기사에서 많이 보이는 단어, "이대남" 뜻과 유래를 알아보자

by 망고맛치약 2022. 1. 17.

 

 

대통령 선거가 몇 달 남지 않은 요새

사회면 기사들을 많이 보게 되는데요

그 기사들 중 많이 보이는 단어,

바로 "이대남"입니다.

 

이대남이란 20대 남자를 줄인 말인데요

20대 남자라는 말 자체도 그리 길지 않은데

굳이 줄여서 별칭을 붙인 것은

이들을 주목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이대남이 생긴 이유와

주목할 만한 특징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이대남" 그 유래는?   

 

20대 남성이 주목된 것은

2018년도 말 문재인 정부 국정지지도

여론조사에서 눈에 띄는 조사 결과가

나온 이후인 것으로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세대별로 구별되던

지지율이 20대 남성만이

세대가 아닌 세대와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오면서

이들에 대한 기사들이 나오기 시작했는데요

드물지만 이때부터 "이대남"이라는 단어가

사용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대남"이라는 단어를 쓰는 2019년도 기사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04/2019010401532.html

 

[아무튼, 주말] 이대남의 항변 "우리를 여성 혐오자라고 착각하지 마라"

아무튼, 주말 이대남의 항변 우리를 여성 혐오자라고 착각하지 마라 목소리 내는 이대남 20대 50명 만나 얘기 들어보니

www.chosun.com

 

그러다 본격적으로 기사에

많이 보이기 시작한 것은

2021 재보궐 선거에서 당시 후보였던

오세훈 서울시장의 여론조사 결과에서

다시 20대 남성의 조사 결과가 눈에 띄면서인데요

이후로 지금까지 기사에 자주 언급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2022 대선을 앞두고

주요 후보들의 선거운동과 관련하여

20대 남성의 표심을 노리는 언행이 나올 때마다

이대남이라는 단어가 같이 언급되면서

이 단어를 기사에서 자주 접하게 되었습니다.

 

 

   "이대남" 특징   

이대남이라는 단어가 등장하게 된

배경이 여론조사에서 등장한

눈에 띄는 결과인 만큼

 

그 조사 결과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많았는데요.

 

이는 곧 20대 남성이 가지는 특징과 정체성이

무엇인가로 이어지는 것들이 많았습니다.

 

여기서 그중 설문조사를 통해

이들의 특징을 규정하려 시도해본 기사들을

참고하여 그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344 

 

20대 남자, 그들은 누구인가 - 시사IN

〈시사IN〉과 여론조사 전문기업 한국리서치는 올해 1월부터 ‘20대 남자 현상’을 주제로 심층조사를 기획했다. 준비를 시작하자마자, 우리는 어려운 질문에 마주쳐야 했다. 대체 ‘20대 남자

www.sisain.co.kr

우선 본 기사는

2019년도에 시사IN에서 조사한

심층 여론조사입니다.

 

본 기사는 20대 남성을 주목하게 된

문재인 국정지지도 여론 조사 이후

20대 남성 현상이 정확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된 여론조사로

 

208개의 질문을

20대 남녀 500명,

그 외 연령대 성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설문조사입니다.

 

설문조사는 20대 남성 현상을

밝히려는 의도에 따라

질문에 대한 답을

성별, 세대별로 분류해서 보았는데요

때문에 일반적인 남성의 특징으로

보이는 조사 결과가 아닌

20대 남성의 특징을 잡아낼 수 있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여 이 설문조사에서

20대 남성이 뚜렷하게 차이를 보이는 분야는

젠더와 권력이 만나는 영역으로

둘 중 한 가지만 사라져도 20대 남성의

특수성이 사라진다고 말했습니다.

 

젠더와 권력이 만나는 영역을

다른 말로 설명하자면

20대 남성이 차별받고 있다는 인식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남성차별 문제 심각한가'라는 질문에

남성으로서도, 세대로서도 묶이지 않는

20대 남성만의 특징으로 보이는

응답 결과를 통해 알아볼 수 있었으며

 

'여성차별 심각한가'에 대한 질문에서

남성 응답자들이 세대에 상관없이

비슷한 조사 결과를 보여준 것과

상반되는 응답으로 20대 남성이

가지는 특징을 보여주는 조사문항이었습니다.

 

또한 기사에서는

20대 남성 현상을 설명하는 몇몇 대안에 대하여

여론조사의 결과로 이를 기각하며

특히 공정성에 대한 태도는

20대 남성 특유의 정서가 아니라

전 세대, 성별이 공유하고 있음을 말했습니다.

 

덧붙여 20대 남성에 대하여

 

"20대 남성들은, 연애·결혼 시장이건 국가정책이건 간에, 게임의 법칙이 불공정하다고 인식한다. 분노의 핵심은 남성 차별이고, 차별론의 핵심은 (‘이기적인 여자들’이 아니라) 게임의 법칙이 왜곡되어 있다는 인식이다. 정부의 양성평등 정책은 게임의 법칙을 왜곡하는 원천이다."

 

와 같이 설명하며 20대 남성 현상이

젠더 문제 혹은 권력문제가 아니라

젠더와 권력이 만나는 영역에서

특징이 드러남을 설명하였습니다.

 

 

 

위 기사의 설문조사가

2019년도였던 것을 감안하여

비교적 최근인 2021년도

KBS 세대인식 집중 조사도 같이 보겠습니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217567 

 

KBS 세대인식 집중조사③ ‘이대남’ ‘이대녀’론의 실체

국내 사회조사 권위자로 구성된 KBS 세대인식 집중조사 공동연구진. 차이는 뚜렷했다. 이번 조사 전반에 걸...

news.kbs.co.kr

본 여론조사는 1200명의

국내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로

 

20~34세 청년 600명

50~59세 50대 600명

이 두 세대 집중하여 설문을 진행하였습니다.

 

기사에서는 조사 전반에 걸쳐

가장 두드러지는 집단을 청년 남성이라 말하며

수치만 놓고 본다면

청년 남성의 많은 수가

"차별에 찬성"하는 것처럼 보인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20대 남성의 응답은

환경, 노동, 북한, 차별, 여성 등

사회의 주요 현안에서 유독 돌출적인 모양새이고

응답의 다수에서 공격성과 배타성을 감지됐다고 말하며

 

이들의 특징을 '공동체 배타성'으로 표현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런 현상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습니다.

 

"인터넷 공간에서 자신과 의견을 같이 하는 이들끼리만 모여 일종의 버블에 갇히고, 확증편향이 강해지는 것이다. 서로 얼굴 맞대고 상대방의 표정과 입장을 살피며 대화하는 게 아니라 온라인 상에서 낄끼리 뭉치게 되면, 사회적 태도는 더욱양 극화해 집단 극화로 나아가게 된다. 자신의 생각만이 옳고 공동체의 다양한 의견에 대한 배타성은 갈수록 강해지는 것이다."

 

 

 

즉 두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이대남의 특징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20대 남성이 차별받고 있다고 인식한다.

2. 다른 집단에 비해 공격성과 배타성을 띤다.

 

여기까지 "이대남'의 뜻과 유래

특징을 살펴보았습니다.

 

요즘 기사에서 자주 보이는 말이라

정확히 알고 싶었는데

이참에 알아보게 되어 재미있었습니다.

 

다만 두 기사 모두 이대남이 생긴

원인이나 이후의 대처 등에 대한

정확한 설명이 부족하여

매우 아쉬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