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때문에 혼란스러운 요즘, 열심히 손을 씻고 있습니다.
오늘도 나갔다 돌아와 손을 씻으려는데......
화장실에 사람이 있습니다.
싱크대로 가 주방세제로 손을 씻습니다.
그러다 갑자기 든 생각,
주방세제로 손 씻어도 될까?
비누의 원리
비누는 일반적으로 물과 반응하는 부분(친수성 부분),
기름과 반응하는 부분(친유성 부분) 이 두 가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성분들이 비누칠을 했을 때 서로 작용하면서 세탁 작용이 일어납니다.
예를 들어 옷에 비누칠을 하게 되면
기름과 반응하는 부분이 옷에 묻어있는 때의 지방성분과 반응하여 이를 녹여냅니다.
이렇게 녹여진 친유성 부분이 핵이 되고
그 주위에 친수성 부분들이 물과 닿는 표면을 이루면서
물에 녹지 않고 물을 따라 흘러가버리게 됩니다.
물과 함께 때도 흘러가 버리는 것입니다.
이것이 계면활성제의 일반적인 원리입니다.
주방세제와 손 씻는 비누의 차이점은?
비누의 원리는 이해가 가는데
그래서 주방세제와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위에서 말했던 계활성제는
비누(지방산계), 석유계, 식물계 등으로 나뉩니다.
이때 석유계에서 추출한 계면활성제가 합성 계면활성제입니다.
바로 이 합성계면활성제가 비누와 주방세제의 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방세제는 지방성분 제거를 위하여 이를 잘 분해해 주는
합성 계면활성제가 많이 포함되어있습니다.
문제는 이 성분들이 각질의 지방도 녹여
수분의 증발을 막을 수 없게 만든다는 사실입니다.
반면 비누는 지방을 물에 녹이게 하지만
단백질과 결합시키는 힘이 약하여 주방세제같이 수분의 증발이 커지지는 않습니다.
정리하자면 주방세제에 들어 있는 설거지를 더 깨끗하게 하기 위한 성분들
이 손을 씻을 때는 좋지 않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좀 더 나아가 생각해보면 바디워시나 샴푸 등도
용도에 맞게 보습력이 있는 성분들이나 피부를 위한 성분을 넣었는가 아닌가의 차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손을 씻다가 문득 생각난 질문에 오랜만에 과학공부를 한 느낌입니다.
*
글에 문제가 있을 경우 언제든지 댓글을 통해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궁금한거 다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ash player 사용중지는 무슨 뜻일까? (0) | 2020.02.18 |
---|---|
'남사스럽다'의 어원은 무엇일까? (0) | 2020.02.17 |
입 안에서 튀는 사탕, 어떤 원리일까? (0) | 2020.02.09 |
연은 어디에서 생긴 것일까? (0) | 2020.02.07 |
냉면은 겨울에 먹는 음식일까? (0) | 2020.02.06 |
댓글